대다수의 대학에서 번역은 연구 실적으로 인정되지도 않는다. “연구자가 자신의 연구 분야에 대한 외국 서적을 한국 독자에게 한국어로 전하고 싶어 번역하는 일은 사명감 없이는 불가능한 일입니다. 번역에 대한 보수도 낮을 뿐더러 연구실적으로도 인정하지 않는데 누가 책임감 있게 번역에 매달릴까요. 그냥 외국어로 말하고 외국어로 연구하는 일이 더 편한 교수들이 많습니다.”
이런 분위기에서 번역은 학문으로 잘 인정받지도 못하고 있다. 번역학이라는 학문이 따로 존재하긴 하지만 여타 학문에 비해 위상이 매우 낮은 편이다. 번역학으로 학위를 받을 수 있는 곳도 없다. 번역을 하려는 사람도 적고 번역을 인정하는 분위기도 아니다 보니 번역은 꼭 필요한 곳에서만 이뤄져왔다. 번역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람이 없으니 당연히 번역은 부차적인 것으로 인식됐다. 외국의 책을 번역해 출판해온 한 중소 출판사 사장은 “그렇지 않아도 적자로 운영되는 출판사에서 ‘줄일 수 있는 비용’ 중 하나가 번역료”라면서 “극히 전문적인 서적을 번역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가격적으로 경쟁력 있는 번역가에게 번역을 맡기곤 한다”고 말했다.
더 이상 시장에 맡겨둘 문제가 아니다
이런 분위기에서 번역은 학문으로 잘 인정받지도 못하고 있다. 번역학이라는 학문이 따로 존재하긴 하지만 여타 학문에 비해 위상이 매우 낮은 편이다. 번역학으로 학위를 받을 수 있는 곳도 없다. 번역을 하려는 사람도 적고 번역을 인정하는 분위기도 아니다 보니 번역은 꼭 필요한 곳에서만 이뤄져왔다. 번역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람이 없으니 당연히 번역은 부차적인 것으로 인식됐다. 외국의 책을 번역해 출판해온 한 중소 출판사 사장은 “그렇지 않아도 적자로 운영되는 출판사에서 ‘줄일 수 있는 비용’ 중 하나가 번역료”라면서 “극히 전문적인 서적을 번역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가격적으로 경쟁력 있는 번역가에게 번역을 맡기곤 한다”고 말했다.
더 이상 시장에 맡겨둘 문제가 아니다
이런 상황을 방치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번역에 대한 요구 수준은 높아지는데 능력 있는 번역가는 부족한 채로 제대로 된 한국어 콘텐츠를 갖추지 못하는 상황이 반복될 가능성이 높다. 학술 분야에서 그치는 얘기가 아니다. 당장 이번 ‘어벤져스’ 영화 오역 논란을 두고 보더라도 영어를 원어민처럼 할 수 있는 사람과 자막에 의존해야 하는 사람의 영화 이해 수준은 큰 격차를 보였다.
거꾸로 한국어로 된 콘텐츠를 외국어로 번역할 번역가 또한 부족할 수밖에 없다. 번역가에 대한 사회적 처우가 낮다 보니 언어 구사력이 뛰어나고 문화 이해도가 높은 사람이 굳이 번역가로 나서려 하지 않는 상황인 것이다. 이러면서 늘 한국 문학이나 영화, 만화 등을 제대로 번역할 번역가가 부족하다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이제는 더 이상 번역을 시장의 문제로 내버려둘 수만은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제도적으로 번역가를 양성하고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얘기다. 실제로 2001년부터 한국문학번역원이 설립돼 번역가를 양성하는 번역아카데미를 운영하고 번역 지원, 출판 지원 사업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 지원하는 범위는 한국어로 된 콘텐츠를 외국어로 번역하는 일에 제한된다. 한국어 콘텐츠를 늘리고 기초를 다지는 데는 별다른 지원이 없는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최근 ‘번역청을 설립하라’는 책을 펴낸 박상익 교수는 “번역청 같은 정부 기관이 됐든 번역위원회 같은 조직이 됐든 간에 돈 안 되는 번역과 번역학에 대한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주장했다.
“번역을 지원하는 일은 많은 예산이 드는 일이 아닙니다. 돈 안 되는 번역물을 출간할 수 있게 출판 지원을 해주고 번역가의 최소 생계가 보장될 수 있도록 지원 사업을 하는 일은 당장 실행할 수 있는 일입니다. 그러나 이 지원 사업이 가져오는 결과는 매우 긍정적이고 발전적일 것입니다. 외국어와 외국 문화에 능통한 사람이 자신이 접한 좋은 콘텐츠를 한국 사회에 알리고 싶어할 것이고, 한국 사회의 기초 토양은 더욱 강해질 겁니다. 학술적인 얘기에만 그치는 게 아닙니다. 번역물과 번역가에 대한 처우가 좋아지면 저절로 양질의 번역이 제공될 거고 일반 대중들 역시 외국인 못지않게 외국 콘텐츠를 우리말로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될 겁니다.”
박 교수의 말이 완전히 새로운 것은 아니다. 놀랍게도 1967년 언론 보도에도 이와 같은 이야기가 나온다. 3월 2일자 동아일보 기사 ‘번역청을 설치하라’의 내용이다.
“외국에서는 타국에서 어떤 책이 발간되면 즉시 바른 번역서가 나와 외국어에 부심(腐心)치 않고도 연구에 전념할 수 있다고 한다. ‘칼을 갈기만 하다 막상 자기 능력을 발휘하지도 못하는’ 우리 현실에 비추어 크게 본받을 가치가 있지 않을까.”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5/11/2018051101914.html
거꾸로 한국어로 된 콘텐츠를 외국어로 번역할 번역가 또한 부족할 수밖에 없다. 번역가에 대한 사회적 처우가 낮다 보니 언어 구사력이 뛰어나고 문화 이해도가 높은 사람이 굳이 번역가로 나서려 하지 않는 상황인 것이다. 이러면서 늘 한국 문학이나 영화, 만화 등을 제대로 번역할 번역가가 부족하다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이제는 더 이상 번역을 시장의 문제로 내버려둘 수만은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제도적으로 번역가를 양성하고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얘기다. 실제로 2001년부터 한국문학번역원이 설립돼 번역가를 양성하는 번역아카데미를 운영하고 번역 지원, 출판 지원 사업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 지원하는 범위는 한국어로 된 콘텐츠를 외국어로 번역하는 일에 제한된다. 한국어 콘텐츠를 늘리고 기초를 다지는 데는 별다른 지원이 없는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최근 ‘번역청을 설립하라’는 책을 펴낸 박상익 교수는 “번역청 같은 정부 기관이 됐든 번역위원회 같은 조직이 됐든 간에 돈 안 되는 번역과 번역학에 대한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주장했다.
“번역을 지원하는 일은 많은 예산이 드는 일이 아닙니다. 돈 안 되는 번역물을 출간할 수 있게 출판 지원을 해주고 번역가의 최소 생계가 보장될 수 있도록 지원 사업을 하는 일은 당장 실행할 수 있는 일입니다. 그러나 이 지원 사업이 가져오는 결과는 매우 긍정적이고 발전적일 것입니다. 외국어와 외국 문화에 능통한 사람이 자신이 접한 좋은 콘텐츠를 한국 사회에 알리고 싶어할 것이고, 한국 사회의 기초 토양은 더욱 강해질 겁니다. 학술적인 얘기에만 그치는 게 아닙니다. 번역물과 번역가에 대한 처우가 좋아지면 저절로 양질의 번역이 제공될 거고 일반 대중들 역시 외국인 못지않게 외국 콘텐츠를 우리말로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될 겁니다.”
박 교수의 말이 완전히 새로운 것은 아니다. 놀랍게도 1967년 언론 보도에도 이와 같은 이야기가 나온다. 3월 2일자 동아일보 기사 ‘번역청을 설치하라’의 내용이다.
“외국에서는 타국에서 어떤 책이 발간되면 즉시 바른 번역서가 나와 외국어에 부심(腐心)치 않고도 연구에 전념할 수 있다고 한다. ‘칼을 갈기만 하다 막상 자기 능력을 발휘하지도 못하는’ 우리 현실에 비추어 크게 본받을 가치가 있지 않을까.”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5/11/2018051101914.html
'경주어 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향토음식/죽종류 (0) | 2018.05.15 |
---|---|
경주향토음식/국수 (0) | 2018.05.14 |
경주 지역어의 특성 (0) | 2018.05.13 |
경주 향토 음식/ ◎ 상 종류(床種類) (0) | 2018.05.13 |
한글학자 외솔, 사투리 심해 해방을 해뱅 (0) | 2018.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