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수의 오마이갓] 여성 장교가 남성보다 많은 군대, 구세군
여성 장교가 남성 장교보다 많은 군대(?)가 있습니다. 바로 구세군(救世軍·The Salvation Army)입니다. 흔히 종교계는 엄격한 위계질서, 남성중심적이라고 생각하기 쉽지요. 그렇지만 예외는 있습니다. 종교계에 ‘양성 평등’을 실천하고 있는 교단이 있습니다. 개신교계의 구세군과 불교계의 진각종(眞覺宗)은 부부가 함께 성직자로 활동합니다. 함께 교육받고, 함께 활동합니다. 두 교단 모두 독신이면 몰라도 부부 중 한 명이라도 성직을 희망하지 않으면 둘 모두 성직자가 될 수 없습니다.
오늘은 먼저 구세군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구세군이라고 하면 보통 12월에 자선냄비와 함께 등장하는 모습을 많이 떠올리실 겁니다. 구세군은 12월 외에도 1년 내내 자선냄비 등에서 모금한 금액으로 어려운 이웃을 돕고 있습니다.
구세군은 개신교 교단 중 하나이지만 여러 면에서 독특하지요. 우선 군대식 편제와 조직으로 구성되며 성직자들도 군복을 입고, 계급도 갖고 있지요. 거기에 더해 구세군 성직 활동을 부부가 함께한다는 것을 아는 분은 많지 않을 것 같습니다. 군대와 종교계, 두 분야 모두 보수적이고 남성위주일 것 같은데, 그런 선입견을 깨는 개신교단이 구세군입니다.
저도 신문사가 구세군과 이웃사촌이 아니었다면 잘 몰랐을 겁니다. 저희 조선일보사와 구세군은 서울 정동에 나란히 자리하고 있습니다. 덕수초등학교 옆에 구세군 대한본영과 사관학교가 있었거든요.(현재 대한본영과 사관학교는 충정로와 과천으로 옮겼고 옛 건물은 복합문화공간과 구세군박물관으로 바뀌었습니다) 덕분에 저는 입사 초기부터 구세군 사관들을 자주 볼 수 있었습니다. 그럴 때 신기하게 여긴 점은 군복을 입은 남녀 숫자가 비슷해보였습니다. 나중에 종교를 담당하게 되고나서 보니 그분들은 부부였던 것이죠.
구세군은 출발부터 남녀가 함께 활동했답니다. 감리교 목사였던 영국의 윌리엄 부스(1829~1912)가 1865년 구세군을 창립할 때 아내인 캐서린 부스(1829~1890)와 함께 활동한 것이 시작입니다. 구세군은 산업혁명이 먼저 시작된 영국에서 늘어난 도시 빈민을 돕기 위해 윌리엄 부스가 군대식 조직을 꾸린 것이 시작이지요. 당시 ‘윌리엄 부스가 행동하는 대장이었다면, 캐서린은 실질적인 구세군의 창안자’란 말이 있을 정도로 아내의 역할이 컸답니다. 실제로 캐서린은 ‘내조’ 정도가 아니라 ‘실천적 기독교’ ‘진격적 기독교’ 등의 강연집을 펴낼 정도로 활발히 활동했다고 합니다. 남편은 런던 동부의 빈민가에서 전투하듯 가난한 사람을 돕고, 아내는 런던 서부의 중산층을 대상으로 ‘왜 빈민을 도와야 하는지’ 강연과 교육을 맡았다고 합니다. 이렇게 구세군은 초기부터 남성뿐 아니라 부인들과 독신 여성들도 사관(Officer)으로 임관돼 활동했고 1870년 구세군 창립문서에도 양성평등을 명문화했다고 합니다.
구세군이 처음 활동하던 영국의 빅토리아 시대는 여성 참정권이란 단어조차 없던 시절입니다. 그런 시절에 보수적인 종교계에서 여성을 남성과 동등하게 성직자로 인정하고 함께 일했다는 것은 매우 획기적인 조치였지요.
초기부터 이런 양성평등의 전통을 세운 덕분에 구세군은 세계 130여개국 대표하는 대장(General)에도 벌써 세 명이나 여성이 배출됐습니다. 제4대 에반젤린 부스(1934~1939 재임), 제13대 에바 버로스(1986~1993 재임), 제19대 린다 본드(2011~2013) 대장이지요. 세 명의 여성 대장은 모두 독신이었다고 합니다.
구세군이 한국에 진출한 것은 1908년입니다. 2년 후인 1910년엔 ‘성경학교’를 개설하지요. 현 구세군사관대학원대학교의 전신입니다. 1928년에는 정동에 멋진 석조건물로 사관학교를 지었지요. 이 건물은 2002년 서울시기념물 20호 문화재건물로 지정되었지요. 구세군은 한국에 진출한 초기부터 부부 사관제도를 시행했습니다. 성직자가 되는 길은 쉽지 않습니다. 사관(성직자)이 되려는 신자는 청소년기부터 선배 성직자들로부터 ‘될성부른 떡잎’인지 평가를 받습니다. 성인이 되어 일반대학까지 마친 후에도 성직자가 되려는 마음이 굳게 있다면 현장 교회에서 위탁훈련으로 영성, 실천, 교육, 봉사 등 ‘후보생 교육’을 1년간 받습니다. 이 과정을 통과하면 2년 과정의 사관대학원대학교에 입학하게 됩니다.
이 대학원대학교 입학 때 ‘선택’이 필요합니다. 독신자도 입학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기혼자는 반드시 양쪽 모두 사관이 될 사람이어야 하거든요. 즉 결혼한 남녀라면 사관대학원대학교에 함께 입학해 교육받고 졸업 후 함께 임관해서 활동해야 한답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구세군은 사관학교 동기동창 부부가 많고, 학교 입학 후 만난 동기 혹은 선후배와 결혼한 경우도 많답니다. 먼저 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성직자가 된 후에 결혼할 상대를 만났다면 어떨까요? 이 경우도 배우자가 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부부가 함께 활동해야 한답니다.
구세군은 모든 조직이 군대식이기 때문에 ‘계급’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관학교를 졸업하면 ‘부위(副尉·Lieutenant)’로 임관합니다. 이어 연차에 따라 정위(正尉·Captain), 참령(參領·Major)으로 진급합니다. 일반 사관은 대개 참령 계급으로 65세에 은퇴하지만 지역, 국가 혹은 세계를 대표하는 지도자로 승진할 경우엔 고위급 사관 계급이 있습니다. 천주교의 주교에 해당하는 부정령(副正領·Lieutenant Colonel), 대주교에 해당하는 정령(正領·Colonel), 추기경에 해당하는 부장(副將·Commissioner) 그리고 전세계 구세군을 대표하는 대장(大將·General)이 있습니다. 계급명에서 옛날 느낌이 나지요? 이는 구세군이 한국에 진출하던 구한말 군관 계급 용어를 번역한 것이 그대로 이어져서 그렇다고 하네요.
구세군은 국내에 250여 교회와 100여개 복지기관을 두고 있습니다. ‘강소(强小) 교회’로 자부하지요. 부부 사관이 교회에 배치되면 남편은 설교 등 담임사관을 맡게 되고 아내는 목양(牧羊)사관을 맡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많은 경우 부부는 사관학교 동기동창인 경우가 많아서 계급 승진도 나란히 하게 된답니다.
그렇다면 부부 사관으로 활동하다 이혼하는 경우엔 성직 자격이 어떻게 될까요? 과거엔 이혼 시 부부 모두 일단 사직했다가 3년 후 이혼사유에서 ‘흠결’이 없었던 쪽은 복직이 가능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현재는 ‘3년 유예 기간’ 없이 흠결 없는 쪽은 그대로 사관직을 유지한다고 합니다. 또 2003년부터는 부부 중 한 쪽이 개인적 사정으로 사직할 경우 남은 배우자는 그대로 사관직을 유지한답니다. 현재 한국 구세군엔 600여명의 사관이 있는데, 남녀 비율은 48대 52정도라고 합니다.
'전문기자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렇게 좋은 부처님 말씀, 아름다운 우리말로 옮겼지요 (0) | 2022.05.23 |
---|---|
머리 기른 부부가 함께 성직 활동하는 불교, 진각종 (0) | 2022.05.01 |
지팡이 4만 9600개 어르신께 나눈 '지팡이 목사님' (0) | 2022.03.23 |
'한국의 피사 사탑' 전등사 약사전 (0) | 2022.02.16 |
스님과 신부님이 함께 가꾸는 '내포 문화숲길' (0) | 2022.02.09 |